본문 바로가기

728x90

[시사&정보]

3저호황이란? (시사경제용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3저호황(경제시사용어)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3저호황이란? 개 요 저달러, 저유가, 저금리의 3저 현상에 힘입어 1986년도부터 ~ 1988년정도까지 한국이 누린 경제호황 상태를 말합니다. 3저호황의 시기 386 세대를 비아냥 대는말이 요즘 인터넷에서 많이 돌아다니고 있다. 취업난도 없었으며 대학만 졸업했다고 하면 대기업은 손쉽게 골라서 갈수 있었기 때문이다. 386세대는 군부독재정권시절(전두환~노태우정권시절) 에 가장 저항운동을 많이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경제적인 혜택도 많이 보았다고 평가된다. 한창 결혼적령기였던 이들에게 노태우정부는 주택 200만호 건설 정책의 수혜를 입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3저호황이 맞물리면서 386세대의 황금기라고 일컫어진다. 2. .. 더보기
골디락스란? (시사경제용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골디락스 (시사경제용어)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골디락스란? 개 념과 어원 경제가 건실하게 성장하고 물가는 안정을 유지하는 이상적이고 안정적인 경제호황상태를 말합니다.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곰' 에는 골디락스라는 이름의 금발머리 소녀가 등장하는데요. 골디락스는 우연히 들어간 집에서 곰이 끓여놓고 간 수프 세그릇을 발견하게 됩니다. 첫번째 수푸는 너무 뜨거웠습니다. 두번째 수프는 너무 차가웠습니다. 세번째 수푸는 딱 먹기 좋은 상태였습니다. 세번째 수프를 빗대어 미국 경제학자 데이비드 슐먼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지만 경제성장력도 함께 수반되는 상황을 이 소녀에빗대어서 표현한 용어가 바로 "골디락스 경제" 라고 나타낸 것입.. 더보기
LTV / DTI (담보인정비율/총부채상환비율) DSR /RTI (총체적상환능력비율/임대업이자상환비율)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LTV / DTI (담보인정비율/총부채상환비율) DSR /RTI (총체적상환능력비율/임대업이자상환비율) (경제시사용어)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LTV , DTI, DSR, RTI LTV (담보인정비율) LTV는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 DTI (총부채상환비율) DTI는 소득에서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 DSR (총체적상환능력비율) 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모든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 RTI (임대업이자상환비율) 임대사업자의 연간 임대소득을 연간 이자비용으로 나눈 비율 2. 정부의 부동산 투기억제 수단 (LTV/DTI) 어마어마한 현금 부자가 아니고서야 요즘 자기돈으로 부동산 주택을 구입하는 일은 흔치 않습니.. 더보기
WTO와 FTA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WTO와 FTA(경제시사용어)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WTO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개 요 상품, 서비스, 지적 재산권 등 모든 교역분야의 자유무역질서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 기구. 국가간 무역분쟁이 극단으로 치달으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카드가 꼭 등장하게 되는데요. 무역질서를 수호하는 WTO는 경제 분야의 국제연합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WTO의 전신은 1947년에 체결된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입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세계 각국이 자유무역의 제도적 틀을 만들자는 데 뜻을 모은 협정입니다. 하지만 GATT는 정식 국제기구가 아니어서 보호무역 꼼수를 부릴 수 있는 허점이 많았습니다. GATT를 대체할 강력한.. 더보기
비둘기파와 매파의 개념과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비둘기파와 매파의 차이점(경제시사용어)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비둘기파와 매파란? 개 요 * 비둘기파 : 비둘기파는 기준금리를 인하를 주장하는 통화완화론자 * 매 파 :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통화긴축론자를 비유하는 말 배 경 국내의 중앙은행 관련된 기사를 읽다보면 매와 비둘기가 자주등장합니다. 중앙은행의 결정은 매파와 비둘기파의 치열한 내부 토론을 거친 결과물입니다. 매와 비둘기의 비유는 원래 외교정책 분야에서 먼저 쓰였습니다. 1960년대 베트남전 당시 확전을 주장하는 강경파를 매에, 전쟁의 최소화를 원하는 온건파를 비둘기에 빗댄것이 통화정책 분야로 확장돼 쓰이게 된 것입니다. 2. 재닛옐런과 비둘기와 매파의 대립 2014년 ~ 2018년 재닛 옐런 미국경제가.. 더보기
블랙스완이란?(시사경제용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블랙스완(경제시사용어)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블랙스완이란? 개 요 극히 예외적이어서발생 가능성이 없어보이지만 일단 발생하면 엄청난 충격을 가져오는 사건 어 원 블랙스완은 우리나라말로 검은 백조입니다. 백조는 원래흰색인데 상상속의 동물인것일까? 검은 백조는 쉽게 볼 수 없을뿐 현실에 존재하는 동물입니다. 1967년 네덜란드 탐험가 윌리엄 드 블라밍은 서부 호주에서 흑고니라는 새로운 종을 찾아냈는데요. 이전까지 백조는 모두 하얀 줄 알았던 유럽인으로서는 센세인션한 충격이었습니다. 사 용 이를 계기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현실이 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블랙스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요즘 국내 언론도 경제적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돌발악재를 언급할.. 더보기
경제성장률vs물가상승률vs환율 개념과 경제기본용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경제기본용어3인방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경제성장률이란? ■ 경제성장률이란? 실질 국내총생산 (GDP)의 증감률을 가리킵니다. GDP는 일정 기간 동안 나라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생산한 부가가치를 다 합산한 것인데요. 한 나라의 거시적인 경제규모를 나타낼 때 가장 우선으로 쓰이는 개념입니다. 실질 GDP가 성장했다는 것은 기업의 생산과 투자가 활발했었고, 국민의 소비 또한 늘어났다는 얘기입니다. 투자와 고용도 마찬가지로 물론 상승했겠지요.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1970~1980년대 고도성장 했으며, 이 때에는 거의 10%에 육박하는 경제성장률을 보여주었습니다. 2. 물가상승률이란? ■ 물가상승률이란? 물가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 더보기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 요약 더보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 요약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거시경제 전망 (국내와 해외 모두 불확실성 존재) ■ 수출 부진 속 소비 회복세가 성장률 견인 국내 실물 경기는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 확대와 22년 말부터 지속되어온 수출부진 때문에 성장세가 약화되었으나 소비회복세는 지속 ■ 2023년 세계경제는 불확실성 속에 제한적 성장 예상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은행위기로 불확실성이 잠재하고 있음 미국경제는 금리 인상조치로 인플레가 진정되고 있으나, 고용여건은 개선세가 둔화되는 중 일본과 중국도 큰 성장은 없을 예정 2. 주력산업 전망 (수출 / 내수) ■ 수출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전년동기대비 큰 폭 감소 기계산업(자동차 등)을 제외.. 더보기
평균실종의 뜻이란?(트렌드용어 2023)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트렌드용어 평균실종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평균실종이란 시장이나 사회에서 물론이고 개개인의 삶과 가치관에서 그동안 당연하게 여겨지던 '전형성'이 사라지는 현상을 '평균실종'이라는 단어로 트렌드 용어로 급부상하였습니다. 평균점수,평균나이,평균학력,평균재산,평균소득,평균수익률 평균의 개념을 너무나 우리는 자주 접할 수 있었죠. 하지만 빅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사업과 ai기반 데이터분석기술이 발전되면서 획일적이거나 동질적인 개체를 파악하는 것이 약화되기 시작했습니다. 2. 평균실종 = 양극화 ( 양극단으로 몰리는 현상) 사례 1) 자본주의 부익부 빈익빈은 자본주의의 숙명입니다. 돈이 더 큰 돈을 벌어들이는 속성 때문에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빈자는 더 빈자가 되기 마련이죠. .. 더보기
디폴트 / 기술적디폴트 / 모라토리엄 [경제용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경제용어 (디폴트/기술적디폴트/모라토리엄)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디폴트란? 디폴트는 '채무를 불이행' , 다시 말해 빚을 못갚는 상황을 말합니다. 우리나라가 imf 외환위기 일때 디폴트를 선언했기도 했죠. 국가 뿐 아니라 기업이나 개인이 빚을 갚지 못하는 경우에도 디폴트라는 단어를 자주 씁니다. 한 사람 , 한국가의 디폴트는 본인 뿐 아니라 여러 나라와 상대방에게도 엄청난 타격을 주기 때문에 줄줄이 사탕식으로 피해를 입게 됩니다. (EX : 대한민국 IMF / 그리스 국가디폴트 선언위기 / 베네수엘라,레바논 디폴트 선언 등) 2. 기술적 디폴트란? 채무불이행 , 즉 완전히 능력을 상실한 것과는 별개로 채무를 이행할 능력은 아직까진 되지만 타 조건때문에 상환할 수 없는 .. 더보기
디깅모멘텀의 뜻 (2023트렌드용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트렌드용어 디깅모멘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디깅모멘텀이란? (Diggin Momentum) 디깅 모멘텀이란 한 분야에 깊이 파고드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트렌드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품목이나 영역에 깊이 파고드는 행위가 관련 제품의 소비로 이어지는 것 입니다. Diggn은 '파다'를 뜻하는 영단어에서 따왔으며,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깊이 파고드는 행위를 말합니다. 과몰입, 뭐뭐에 진심, 이라는 말이 그것입니다. 과거에는 중독,몰입 등의 단어가 안좋은 이미지가 컸으나 요즘은 열정적이고, 시간과 애정을 쏟는 다는 긍정적인 의미로도 많이 해석되고 있습니다. 2. 디깅모멘텀의 유형 1) 콘셉트형 디깅 몰입하는 재미를 느끼기 위해 콘셉에 열정하는 유형입니다. 디테일한.. 더보기
평균실종의 뜻은 무엇일까? (트렌드용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트렌드용어 평균실종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평균실종이란? 평균 실종은 트렌드 코리아 2023의 첫 번째 키워드로, 평균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있어 평균을 내는 게 의미가 없어진 현상을 뜻합니다. 어떤 집단을 이해할 때 보통 그 집단을 정규 분포라고 합니다. 완만한 종 모양의 분포를 이루고 있고, 그 가운데에는 평균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평균 주변에 제일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평균적인 분포가 사라지고 있는 현상입니다 평균 실종에는 한쪽으로 쏠린 단극화, 소비가 양 끝(고가vs저가, 짠테크vs럭셔리)으로 몰린 양극화, 초개인화 사회로 접어들며 개인의 취향이 각기 달라진 N극화가 있습니다. 2. 평 균 실 종 의 사 례 1) 압도적 절대 우위, 단..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