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율령(律: 법 율, 令: 명령할 령)
형률과 법령을 아울러 이른다. 삼국은 중국에서 가져온 율령을 현실에 맞게 수용하여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다.
2. ● 음서(蔭: 그늘 음, 敍: 차례 서)
고려·조선 시대에, 공신이나 전·현직 고관의 자제를 과거에 의하지 않고 관리로 채용하던 일 을 말한다. 비슷한 말로 문음(門蔭)이 있다
3. ● 이조 전랑(吏: 벼슬아치 이, 曹: 무리 조, 銓: 저울질할 전, 郞: 사나이 랑) 문제로 점검하기
조선 시대에 이조 정랑과 이조 좌랑을 함께 부르던 말이다, 품계는 높지 않았으나, 3사의 관리 를 선발하고 자신의 후임자를 천거하는 특권을 가지고 있었다
4. ● 인조반정(仁: 어질 인, 祖: 할아버지 조, 反: 돌이킬 반, 正: 바를 정)
조선 광해군 15년(1623)에 서인 일파가 광해군의 정책을 비판하며 광해군 및 집권파인 대북 파를 몰아내고 인조를 즉위시킨 정변이다
5. ● 재래 신앙(在: 있을 재, 來: 올 래, 信: 믿을 신, 仰:우러러볼 앙)
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온 것을 믿고 받드는 일을 의미한다.
6. ● 전민변정도감(田: 밭 전, 民: 백성 민, 辨: 분별할 변, 整: 가지런할 정, 都: 도읍 도, 監: 볼 감)
고려 말기에 토지와 노비를 정리하려고 설치한 임시 관아를 말한다. 공민왕은 이를 통해 권 문세족 등이 불법으로 빼앗은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노비로 전락한 양민의 신분을 회복하였다. 그러나 귀족들의 반발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7. ● 전연의 맹(澶: 물 이름 전, 淵: 못 연, 의, 盟: 맹세할 맹)
1004년 요와 송 양측이 전연 지역에서 대치하다가 승패를 가리지 못하여 맺은 조약을 말한 다. 송대에는 문치주의 정책에 따라 군사력이 약해지자 북방 민족의 침입이 잦았는데, 북방 민족에게 은과 비단 등 막대한 물자를 제공하여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8. ● 정동행성(征: 칠 정, 東: 동녘 동, 行: 다닐 행, 省: 살필 성)
고려 충렬왕 때 중국 원나라가 고려의 개경에 설치한 관아이다. 본래는 원나라의 세조가 일 본은 정벌하기 위해 설치하였으나 일본 정벌 계획을 그만둔 뒤로 고려의 내정을 감시하고 간 섭하는 기구로 활용되었다.
9. ● 정방(政: 정사 정, 房: 방 방)
고려 시대에 최우가 자기 집에 설치하였던 사설 정치 기관으로 인사 행정을 다루었다.
10. ● 정착 생활(定: 정할 정, 着: 붙을 착, 生: 날 생, 活: 살 활)
사람이나 동물이 일정한 환경에서 정착하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인류학과 고고학적 관점 에서 인류가 유목민 생활에서 벗어나 거주지를 가지고 1년 주기로 이어지는 생활을 뜻한다.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세 이하 소아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시행! (46) | 2023.12.08 |
---|---|
남성보다 여성이 더 걸리기 쉬운, 하지정맥류! (60) | 2023.12.08 |
에어컨 ‘알레르기’를 아시나요? (53) | 2023.12.08 |
겨울철 캠핑,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 (49) | 2023.12.08 |
남성의 갑상선질환 위험을 높이는 수면습관 (51)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