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3자 물류(TPL : Third Party Logistics)
설 명
제3자 물류(TPL, Third Party Logistics)의 정의에는 크게 두 가지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는, 기업이 사내에서 직접 수행하던 물류업무를 외부의 전문 물류업체에게 아웃소싱한다는 관점이며, 둘째는, 전문 물류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물류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제고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관점이다. 제3자 물류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기업의 물류활동을 수행하는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첫째, 기업이 사내에 물류조직을 두고 물류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경우로 이를 자사 물류(First-Party Logistics, 1PL)라고 한다.
둘째, 기업이 사내의 물류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자 회사로 독립시키는 경우로 이를 자회사물류(Second-Party Logistics, 2PL)라고 한다.
셋째, 외부 의 전문물류업체에게 물류업무를 아웃소싱하는 경우로 이를 제3자 물류(Third-Party Logistics, 3PL)라고 부를 수 있다. 제3자 물류(Third-Party Logistics, TPL, 3PL)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80년대 후반부터라고 볼 수 있다. 1988년 미국의 물류관리협회(CLM)의 화주를 대상으로 한 물류 서비스 조사에서 제3자 제공자(Third-party providers)라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이후, 산업계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CLM의 정의에 따르면 제3자(Third-party)란 물류채널 내의 다른 주체 와의 일시적이거나 장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대행자 또는 매개자를 의미하며, 화주와 단일 혹 은 복수의 제3자 간에 일정 기간동안 일정 비용으로 일정 서비스를 상호합의하에 수행하는 과정을 제3자 물류 또는 계약물류(Contract logistics)라고 정의하고 있다(CLM, 1989). 이처럼 제3자 물류는 기업이 사내에서 수행하던 물류기능을 아웃소싱(Outsourcing)한다는 의미 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물류아웃소싱이란 기업이 사내에서 수행하던 물류업무를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이 물류아웃소싱을 도입하는 이유는, 이를 통해 물류관 련 자산비용 부담을 줄임으로써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전문 물류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사의 핵심사업분야에 더욱 집중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경쟁력 을 제고할 수 있다는 기대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물류아웃소싱을 특수관계가 없는 물류서비스 제 공업체에게 위탁할 때 이를 제3자 물류라고 부를 수 있다.

2. MRP와 DRP의 차이점
설 명
MRP가 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원재료나 부품 등에 관한 생산관리시스템이라면 DRP는 생산이 완 료된 제품에 대한 판매관리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즉 MRP는 최종 완제품에 대한 수요로부터 하위 부품에 대한 발주정책을 설정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갖고 있으며, 동일한 개념을 판매에도 적 용할 수 있는데 이것이 DRP 계산절차의 기본이 된다. 예를 들어 물류창고의 경우, 물류창고의 수요는 지점이나 영업소 수요의 합이 될 것이다. 물류창 고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MRP개념을 이에 응용하면 보다 정확한 수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전체 분배망의 효율적인 관리도 가능하게 된다. 이것이 DRP의 효용성이다.
3. 칼스(CALS)
설 명
모든 산업활동의 주체 즉,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체제를 일괄적으로 정보화함에 있어 기획에서부터 설계 및 생산, 유통, 고객지원 등 이른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에 수반되는 모든 정보들을 디지털화(Digitalization)하고 그와 관련된 업무처리 방식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동시공학방식(Concurrent engineering)’으로 처리해 나가는 일련의 시스템 전략 또는 그를 위한 어떤 표준 및 구현의 방법을 말한다. CALS는 제조업체의 생산, 유통, 거래 등 모든 과정을 컴퓨터 네트워크로 연결, 완전 자동 화해 놓은 첨단 정보통신 시스템이다.
따라서 민간제조업체들이 CALS를 이용하면 제품에 대한 고 객 욕구를 신속히 파악하고 이를 제조단계에 즉시 반영함으로써 가장 좋은 상품을 가장 값싸게 파 는 효율적인 생산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 또 개발, 생산, 유통, A/S 등 기업의 모든 생산과정을 동 시에 통제할 수 있는 동시공학시스템 구축이 가능하여 경영합리화를 꾀할 수 있으며 정보의 표준 화와 상호교류로 막대한 정보수집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자거래시스템을 통해 서류나 사람의 왕래없이 전자 무역을 할 수 있다는 것도 CALS의 장점이다. CALS는 85년 미국 방성이 컴 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군수물자의 조달을 고도화하는데서 시작되었다. 정부와 방위산업 간의 정보교환을 전자화하여 무기조달의 효율화, 제조 리드타임의 단축, 종이로 되어 있는 기술문서 및 기술정보의 디지털화 등을 통하여 코스트 삭감 및 디지털 정보의 재이용 등으로 설계작업을 효율 화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후 CALS가 민간 부문의 산업에 적용되면서 그 용어와 개념은 4단계에 걸친 변화과정을 겪게 된다.
4. 컨테이너 프레이트 스테이션(CFS : Container Freight Station)
설 명
보통 컨테이너 부두의 일부에 설치되는 하물 처리시설을 말한다. 여기서는 수출되는 화물의 인수, 행선별 분류, 컨테이너 적재를 하거나 수입된 혼재화물을 배송처별 배송의 절차와 작업이 이루어 진다. 또한 일부를 보세하치장으로 하여 통관도 행해진다
5. 큐알에스 시스템(QRS system)
설 명
의류생산에 있어 한 품목의 로트가 1매에서 250매까지로 小로트 생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사이즈를 신속히 공급하는데 목적이 있 고, 유행에 민감한 소비자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QRS 시스템의 선결과제는 모든 업무가 전화나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지시하고 CAD(컴퓨터 설계)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신속히 제 품이 완료된다. QRS 시스템은 판매진도율 향상, 고객취향의 상품제공, 다양한 고객욕구에 대한 판매가능, 제품불량 신속교체, 재고 부담의 감소 등으로 소비자 지향의 기업경영 합리화의 요소라 할 수 있다.

▣ 함께 읽기 좋은글 바로가기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 / 월세 전환 계산방법은?!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전월세 전환율에 대한 전반(경제시사용어)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전월세 전환율 필요성 상가나 주택 등에 대해서 임대차계약을 맺을 시 전세를 월세로 변
hunter486.tistory.com
5대법정의무교육을 한눈에(법정의무교육 그 시간이 다가온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법정의무교육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업장의 총무부 담당자라면 법정의무교육에 대해서 꼭 관리하고 근로자들의 교육참려를 독려해야 될 시즌이 다가왔습
hunter486.tistory.com
직장 내 성희롱 판단의 기준 (성희롱 언어표현 예시)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직장 내 성희롱 판단의 기준 (성희롱 언어표현 예시)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직장 내 성희롱 판단의 기준 1 ] 직장 내의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와의 관련성
hunter486.tistory.com
주식투자 10계명 (초보탈출 / 알지만 못지키는 10계명)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주식투자 10계명 (초보탈출 / 알지만 못지키는 10계명)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주식투자 10계명 주식투자에 반드시 지키면 좋은 10가지 방법 ①반드시 여유자
hunter486.tistory.com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태화정책 / 브레튼우즈체제 / 브렉시트(Brexit)] - 시사경제상식 (49) | 2023.10.17 |
---|---|
주식관련 필수용어 모음] STEP 02 (46) | 2023.10.17 |
과세요건/과세표준신고서/과실책임주의/과실취득권/과태료/관리단/광업재단/교부청구 [공인중개사 용어 STUDY ] !!! (47) | 2023.10.17 |
신고납부/신규등록/신의성실의원칙/신탁등기/신탄림지역/실내건축/실비/실비청구권/실질과세원칙/쌍무계약 [공인중개사용어스터디] (48) | 2023.10.17 |
유통&물류 용어 공부하기 [DAY 15] (56)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