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시사경제용어 Study >
1. 저축률/총저축/평균소비성향/평균저축성향
설 명
국민처분가능소득(NDI; National Disposable Income)은 한 나라 경제 전체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소득이전이 반영된 것이다
2. 적기시정조치제도
설 명
부실화 소지가 있는 금융기관(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금융투자업자, 여전사 등)에 대하여 부실화가 크게 확대되기 전에 적절한 경영개선조치를 취함으로써 조기에 경영을 정상화시키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금융기관은 퇴출시키는 제도이다. 금융위원회는 BIS 자기자본비율이 최저기준(은행 : 8%)에 미달하거나 경영실태평가결과가 일정등 급 이하인 금융기관 등에 대하여 그 미달 정도에 따라 단계별 시정조치인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명령을 자동으로 부과하게 된다.
3. 전방연쇄효과
설 명
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전산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크기로 표시한 것이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이다.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 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로서 그 산업의 생산유발계 수의 행의 합계를 전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철강을 예로 든다면 모든 산업부문 의 생산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철강 품목의 생산을 유발하는데, 감응도계수란 이때 철강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과 비교한 것으로 철강에서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따라서 석유정제와 같이 그 제품이 각 산업 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감응도계수가 크다.
<위 자료는 한국은행 경제용어 자료집을 참고하였습니다>
▣ 함께 읽기 좋은글 바로가기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용어모음집] 정률세/정보공개의무/정부의실패/정비구역/정비사업/정액세/제186조/제187조/제3취득자/제척기간 (40) | 2023.11.08 |
---|---|
취약계층의 부담을 나누기 위한 ‘상생금융 (41) | 2023.11.08 |
피셔효과 / 피용자보수 / 프로젝트 파이낸싱 (62) | 2023.11.06 |
인큐베이팅 (Incubating)/임팩트 투자 (Impact Investment) /자금조달 (41) | 2023.11.06 |
[ICT시사상식] 디지털뉴딜시대 국면 & 상식용어정리 /스마트 오더 / 스캔 만화 웹툰 식별 서비스/스타디아 (43)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