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한국사 용어정리 모음 매일10개] - DAY 23(토지조사사업/평등주의/한국광복군/한인애국단/경제개발5개년계획등)

728x90

      1.    ● 토지 조사 사업(土: 흙 토, 地: 땅 지, 調: 고를 조, 査: 사실할 사, 事: 일 사, 業: 업 업)    

일제가 식민 통치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한 사업을 말한다. 토지 조사 사업은 토지 소유권자가 정해진 기간 내에 직접 신고하여 소유지로 인정받는 신고주의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1910년부터 준비하여 1912~1918년까지 시행하였다.

 

      2.     ● 평등주의(平: 평평할 평, 等: 같을 등,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협의로는 한 나라의 민족, 광의로는 세계의 민족이 누구를 막론하고 즉 귀천, 상하, 남녀의 구 별 없이 인류가 되어 각각 같이 권리와 의무를 질 뿐 아니라 계급의 차등 없이 모두 동등하다 는 주의를 말한다

 

      3.    ● 한국 광복군(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光: 빛 광, 復: 돌아올 복, 軍: 군사 군)    

일제 강점기에 중국에서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하여 일본에 대항하던 군대이다. 이들은 연합 군과의 합동 작전에 주력하였으며 미국 전략 정보국의 지원을 받아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 였으나 일제의 항복으로 실행에는 옮기지 못하였다

 

      4.    ● 한인 애국단(韓: 나라 한, 人: 사람 인, 愛: 사랑 애, 國: 나라 국, 團: 둥글 단)   

1931년 김구가 중국 상하이에서 일본의 중 인물을 암살하려는 목적으로 조직한 비밀 결사 단체이다. 이 단체의 주요 활동으로는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가 있다.

 

      5.    ● 항일 운동(抗: 막을 항, 日: 날 일, 運: 운전할 운, 動: 움직일 동)  

일본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저항 운동을 뜻한다. 무장 투쟁, 실력 양성 등 다양한 형태의 항 일 운동이 일제 강점기 동안 전개되었다.

 

 

 

      6.    ● 형평 운동(衡: 저울대 형, 平: 평평할 평, 運: 운전할 운, 動: 움직일 동)  

일제 강점기에 백정들이 형평사를 중심으로 천민 계급의 지위 향상을 위하여 전개한 혁신적 사회 운동을 의미한다. 갑오개혁에 의해 법률상으로 천인 신분에서 해방되었으나 생활에서 는 신분이 존속돼 차별받던 상황을 타개하고자 한 운동이다.

 

      7.    ● 황국 신민 서사(皇: 임금 황, 國: 나라 국, 臣: 신하 신, 民: 백성 민, 誓: 맹세할 서, 詞: 말씀 사)   

1930년대 후반에 일제가 국민 정신 함양을 명목으로 조선인들에게 암송을 강요한 맹세를 의 미한다. 중·일 전쟁 이후 민족 말살 정책의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8.   ● 황국 신민화 정책(皇: 임금 황, 國: 나라 국, 臣: 신하 신, 民: 백성 민, 化: 될 화, 政: 정사 정, 策: 꾀할 책)   

일제가 만주 사변부터 일제 패망기까지 적용한 식민지 통치 정책으로 주로 전쟁 물자와 인력 을 확보하기 위한 수탈 정책을 의미한다. 한국인에 대한 탄압도 극에 달하여 민족을 말살하 여 일본 민족에 통합하고자 하였다

 

      9.    ● 회사령(會: 모일 회, 社: 모일 사, 令: 하여금 령)   

1910년 12월 조선 총독부가 공포한 회사 설립에 관한 제도로 이를 통해 한국인이 회사를 세 울 때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여 민족 자본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10.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經: 경세 경, 濟: 건널 제, 開: 열 개, 發: 필 발, 五: 다섯 오, 個: 열 개, 年: 해 년, 計: 셀 계, 劃: 새길 획)   

 

우리나라에서 국민 경제를 계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5년 단위로 시행한 경제 계획을 말한다. 1962년부터 5년 단위로 제1차(1962~1966), 제2차(1967~1971), 제3차(1972~1976), 제 4차(1977~1981)까지 시행되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