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25년부터 변경된 육아휴직제도!

728x90

2025년부터 대한민국의 육아휴직 제도가 대폭 개선되어, 부모의 육아 참여를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 육아휴직 기간 연장

  • 부모 각각 최대 1년 6개월까지 육아휴직 사용 가능
  • 부부가 모두 사용할 경우 합산 최대 3년까지 가능
  • 육아휴직은 최대 3회까지 분할 사용 가능 

💰 육아휴직 급여 인상 및 지급 방식 개선

  • 1~3개월: 월 최대 250만 원 (통상임금 100%)
  • 4~6개월: 월 최대 200만 원 (통상임금 100%)
  • 7개월 이후: 월 최대 160만 원 (통상임금 80%)
  • 기존의 사후지급금 제도 폐지로, 육아휴직 기간 중 급여 전액 지급 

👶 출산휴가 및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출산휴가: 미숙아 출산 시 100일로 확대 (기존 90일)
  • 배우자 출산휴가: 10일에서 20일로 확대, 3회 분할 사용 가능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강화

  • 사용 기간: 최대 3년까지 가능 (기존 2년)
  • 신청 단위: 최소 1개월 단위로 변경 (기존 3개월)
  • 대상 자녀 연령: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로 확대 

🏢 중소기업 대체인력 지원금 확대

  • 지원 금액: 120만 원으로 인상 (기존 80만 원)
  • 지원 대상: 육아휴직, 출산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확대 

이러한 제도 개선은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고, 부모의 육아 참여를 장려하여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누리집(www.moel.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같습니다:

 

 

✅ 사례 1: 맞벌이 부부의 육아휴직 활용

상황:
김대리(34세)와 이과장(36세) 부부는 첫 아이를 출산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직장인이며, 아이가 태어난 직후부터 양육을 함께 하고 싶어합니다.

🔹 제도 활용 방식

  1. 이과장(엄마):
    • 출산 후 바로 출산휴가 90일 + 육아휴직 1년 6개월 사용
    • 육아휴직 중 처음 6개월간은 급여를 100% (최대 월 250만 원)까지 받고 이후에는 80% (최대 160만 원) 지급
  2. 김대리(아빠):
    •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사용 (기존 10일 → 20일로 확대)
    • 그 후, 육아휴직 6개월 사용
      • 이때는 육아휴직 동시사용 가능
      • 처음 3개월은 월 최대 250만 원, 이후 3개월은 200만 원까지 급여 수령 가능
  3. 총합:
    • 부부가 육아휴직 각각 1.5년씩 사용 가능 → 총 3년 동안 아이와 함께할 수 있음
    • 육아휴직을 분할 사용하여, 예를 들어 유치원 입학 전까지 나눠서 사용할 수도 있음

✅ 사례 2: 중소기업 근무자 + 대체인력 지원

상황:
정씨(29세)는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여성 근로자로, 출산 후 육아휴직을 신청했습니다. 회사는 인력이 부족해 걱정이 많았지만, 정부의 대체인력 지원금 제도 때문에 안심하고 정씨의 육아휴직을 승인했습니다.

🔹 제도 활용 방식

  • 정씨는 육아휴직 1년 신청 → 매월 육아휴직 급여 수령 (첫 6개월은 최대 월 250만 원)
  • 회사는 정씨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계약직을 채용하고, 정부로부터 월 120만 원의 대체인력 지원금 수령 (기존 80만 원 → 120만 원으로 인상)
  • 사업주는 재정 부담 없이 정씨의 휴직을 허용할 수 있었고, 정씨는 안심하고 아이를 돌볼 수 있었음

✅ 사례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상황:
박과장(41세)은 초등학교 1학년 자녀가 있는 직장인입니다. 방과 후 돌봄이 어려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신청했습니다.

🔹 제도 활용 방식

  • 주 40시간 근무 → 주 30시간으로 조정
  • 근로시간 단축 신청을 1개월 단위로 유연하게 조정 가능
  • 자녀가 초등학교 6학년까지 제도 사용 가능 (기존보다 확대)
  • 소득은 줄지만, 정부에서 소득 일부 보전을 해주고, 직장과 가정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음

 

 

정리하면:

변경 전변경 후
육아휴직 1년 부모 각각 1.5년, 합산 3년
급여 일부 사후 지급 전액 매달 지급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20일로 확대 (분할 사용 가능)
근로시간 단축 2년 3년까지 가능
중소기업 지원금 월 80만 원 월 120만 원으로 확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