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자동차 화재 사고 보상받는 방법 알려드려요

728x90

요즘 뉴스에 화재로 인한 자동차 피해가 많이 등장하고 있어요. 만약 이런 자동차 화재 사고로 내 차가 피해를 입었다면 어떻게 보상을 받아야 할까요? 손해사정사에게 물어봤어요.

 손해사정사 : 보험을 가입한 사람에게 발생한 손해의 규모를 결정하고, 보험금을 산정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에요.

혹시 모를 사고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자동차 화재 사고 보장 기준부터 보상받는 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


아파트 보험으로는 보장 못 받나요?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해 건물이 불에 타고 차량 40여 대가 전소되는 사고가 있었죠.

화재보험법에 따라 16층 이상 고층 아파트는 주택화재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해요. 요즘에는 15층 이하인 아파트들도 대부분 화재보험에 가입하고 있죠.

보통 아파트의 ‘입주자 대표회의’가 보험 가입자가 되고, 보험료는 관리비에서 납부해요. 기본적으로 화재로 인한 건물이나 가재도구의 손해를 보장해요.

 단체 화재보험은 화재∙폭발로 인한 건물과 가재도구(가전∙가구 등)의 손해나 타인이 입은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보장해요.

쉽게 말해 불이 나서 건물을 수리해야 하거나, 다친 사람이 있을 때 이 보험으로 보상해 준다는 뜻이에요.

다만, 단체 화재보험은 보장 범위와 규모가 제한적이에요. 타인의 재물 손해를 보장하는 경우에도 금액은 보통 10억 원 내외이고, 화재보험에 가입했어도 보상의 대상이 건물로 한정되어 있어 자동차는 보장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피해를 입은 차주들은 보상을 받을 수 없는 거죠.

집수리 비용은 어떡하죠?

: 아파트 건물에 발생한 피해는 손해사정을 거쳐 단체 화재보험으로 보상을 받아요.

보장 한도가 초과할 경우에는 개인이 따로 가입한 화재보험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어요. 개인 화재보험에 따로 가입하지 않았다면 화재의 책임이 있는 곳에 민사소송을 통해 보상을 요구할 수 있어요.


불을 낸 차가 보상할 수는 없나요?

처음 불이 난 차의 주인이 물어주면 되는 거 아닐까?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실제로 과실 여부를 가리는 데는 오랜 시간이 소요돼요.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자동차 화재 사고의 경우 전기차 한 대에서 발생한 불이 다른 차로 옮겨붙었는데, 화재의 과실이 차량 제조사에 있는지, 차량을 사용하던 개인에게 있는지 가려야 해요.

피해를 본 차들이 각각 보험사에 보상을 신청하면, 보험사가 우선 보상해 준 뒤 과실이 있는 대상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것으로 보여요.

 차량의 결함이라면?
자동차 제조사나 배터리 제조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어요.

 차주의 과실이라면?
불이 난 차의 주인이 보상해야 할 수도 있어요. 다만 일반적인 자동차보험의 대물 한도는 10억 원 내외인데, 해당 전기차 화재와 같은 사고에서는 피해 금액이 한도를 훨씬 넘어서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개인이 이를 전부 보상하기는 어려워요.


내 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까?

자동차 화재 사고로 피해를 입은 자동차 소유주들은 각자 가입한 자동차보험의 자기차량손해 담보를 통해 보상받을 수 있어요.

자기차량손해 담보 : 내 차가 파손되거나 도난당하는 등의 손해를 입었을 때 보장해 주는 담보예요.

자동차보험 가입은 의무지만, 자기차량손해 담보는 의무가 아니에요. 지난해 기준 전체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79%가 자차 담보에 가입했다고 해요.

자차 담보가 있고, 피해를 입었다면 손해사정을 거쳐 보상을 받게 돼요. 차량이 수리 가능한 상태라면 수리하는 게 원칙이고, 수리비가 차량가액보다 더 많이 나오면 전손처리를 하고 보상을 받아요.

: 이때 내가 보험에 가입할 당시의 차량가액보다는 보상금이 적을 수도 있어요. 사고 당시 보험개발원이 정한 보험가액을 기준으로 보상하거든요.

내가 보험에 가입할 때의 가치가 아니라, 보험 가입 이후 시간에 따른 감가상각을 반영해 보상해 준다고 생각하면 돼요.

만약 자차 담보가 없다면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할 수는 있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배상을 받을 수 있을지도 불투명해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사고를 위해, 자기차량손해 담보도 꼭 들어 놓는 게 좋겠죠?

 자차 담보가 있는지 없는지 헷갈린다면 이렇게 확인해 보세요!

카카오페이에 마이데이터를 연결하고 카카오페이 ‘내 보험’에 들어가면 내가 자기차량손해 담보에 가입되어 있는지, 자기부담금 비율은 얼마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728x90